2년 여 동안 나를 들뜨게 했고, 프로그래밍에 대한 내 생각의 깊이를 한층 깊게 했던 아름다운 한글 언어인 "씨앗"이, 결국 죽어서 썩어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이 이유를 곰곰히 살펴보면 결국 내가 지금 공부하고 있고 주된 언어로 쓰고 있는 Smalltalk의 장래 역시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크게 작용했던 것은 "나눔기술"의 욕심이 아니었을까 싶다. 어떤 기업이든지 이익이 되지 않는 사업을 손해를 보아가면서 까지 할 수는 없음을 나는 안다. 그래서 씨앗 개발팀을 축소했을 테고, 씨앗을 하러 들어온 박석봉 님이나 기타 다른 분에게 씨앗이 아닌 다른 일을 맡겼으리라. 이런 현실에 결국 박석봉 님은 회사를 떠나고 남아 있는 분들 역시 씨앗을 계속하기 위한 여력이 없었음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물론 박석봉 님의 퇴사나 씨앗 팀의 축소 등에 대해서 나는 "나눔기술"의 사정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으므로 속단하기는 이를 일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나눔기술"이 씨앗을 포기한 뒤의 일이다.
씨앗은 언어 명세를 제외한 다른 모든 것을 굳게 닫아 놓았다. 컴파일러와 통합환경, 한글 환경 '태극', 어셈블러인 "한모셈" 등 모든 것에 대한 소스를 공개하지 않았고, 그 저작권을 포기자히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 동호회에서 소스 코드를 받았다고 해도 "나눔기술"이 저작권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회원들에게 배포할 수 없었다.
만약 씨앗이 오픈소스로 전향되어서 소스가 배포되고, 실력이 있고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이 언어와 환경을 계량할 수 있었다면 어뗐을까? 결국 윈도우 환경에도 심을 수 있는 씨앗의 품종 계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나눔기술"이 씨앗의 저작권을 포기하고 모든 걸 열어주었다면, Python, Squeak 등과 같은 수많은 오픈 소스 언어와 같이 한국을 대표할 언어로 자리매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씨앗이 죽을 수 밖에 없는 두 번째 원인, 이것은 바로 "외부 환경과의 단절"이다. DOS환경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언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이기는 했지만, 만약 다른 언어가 만들어낸 OBJ 파일에서 함수나 절차를 호출할 수 있었다면 씨앗용 라이브러리들이 많이 개발되었을 것이다. 이를테면, MS-C의 경우는 벌써부터 Quick Basic과의 연계를 위하여 C나 베이직의 호출 관행을 사용할 수 있었다. 씨앗 역시 표준 OBJ 파일을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호출 관행을 설정할 수 있도록 언어가 확장되었다면 보다 더 많은 라이브러리들이 만들어졌을 것이다.
씨앗이 더 이상 '개발 언어'의 위치를 지킬 수 없었던 이유는 바로 1995년에 "윈도우 95"(Windows 95)가 출시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얼마 정도의 성숙기를 거친 뒤 1996년부터는 PC의 운영체계에 혁명을 몰고왔다.
결국 "나눔기술"도 새로운 환경에 맞는 그룹웨어인 "워크플로우 for 윈도우"를 개발하기 위해서 모든 능력을 동원해야 했으므로, 돈이 안 되는 컴파일러 사업에 투자할 여력이 없었던 것이다. 거기다가 씨앗과 관련된 모든 소스의 저작권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니, 실력 있는 개발자라 하더라도 씨앗을 윈도우로 이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막혀벼렸다.
씨앗의 한글 환경 태극. 결국 이것은 윈도우로 넘어오면서 자연스럽게 "한글 입출력 시스템"으로 인해 빛이 바랠 수 밖에 없었고, 비록 복잡하기는 하지만, IME에 대한 MS의 지원이 강력했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한글 어플리케이션을 굳이 "씨앗"이나 "태극" 없이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만약 실력 있는 개발자에 의해서 씨앗의 컴파일러가 윈도우용으로 이식되고, 한글 환경 태극 역시 윈도우에 이식되었다면, 그래서 윈도우의 출력 시스템과 IME 시스템이 태극과 접속할 수 있었다면, 씨앗의 또 다른 시대가 열렸을 것이다.
윈도우 환경이 자리를 잡으면서 GUI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개발 환경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Delphi, Power Builder, 그리고 Visual Basic까지...
RAD라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방법 자체를 바꾸어 놓은 이들 언어들은 당장 사용해야 할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적격이었다. 거기다가 MS는 Visual C++ 을 내 놓았고, Borland 역시 여러 가지 컴파일러를 내 놓았다. 이러한 컴파일러들과 환경들은 윈도우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촉진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씨앗의 빠른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